유통기한 지난 식품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
냉장고 관리는 조금만 소홀해도 방치되는 식품들이 쌓여서 골머리예요.
그래서 오늘은 먹을 수는 없지만, 막상 버리자니 아까운 음식들을 활용할 수 있는 팁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 유통기한 지난 케첩으로 녹 제거
케첩은 유통기한이 긴 편이지만 밖에서 받아오기만 하고 먹지는 못해 냉장고 여기저기 굴러다니는 케첩 샘플로 이용해주셔도 좋을 것 같아요. 케첩에 들어 있는 유기산 성분은 녹을 분해 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해요.
녹슨 공구나 자전거의 휠, 자동차 차체 등에 케첩을 바르고 30분 정도 기다린 다음 마른 수세미나 수건 등으로 닦아내면
반들반들 윤기 나는 모습으로 재탄생한답니다. 공구나 자전거뿐만 아니라 모든 녹슨 물건에도 이 방법을 활용해보세요!
- 마요네즈와 홍삼 활용법, 버리지 말고 피부에 양보하기
제 경우만 그럴까요? 저희 집은 마요네즈는 케첩보다 자주 먹지 않아 더더욱 존재 자체를 잊고 있다가 유통기한을 넘기는 경우가 일쑤였어요. 마요네즈에는 비오틴 등의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염이나 습진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하네요! 먼저 따뜻한 물로 건조한 피부의 각질을 불려주고, 마요네즈를 발라준 뒤 10~15분 정도 지난 이후 씻어내면 보들보들 해지는 경험을 할 수 있답니다. 저도 식품 활용법을 찾아보다가 알게 된 사실인데... 정말 신기하죠!
또 홍삼은 선물을 받거나 한 이후 잘 챙겨 먹지 않아 방치되는 경우도 있고요.
홍삼의 사포닌 성분도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학계의 연구에 따르면 홍삼을 섭취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직접 피부에 바르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홍삼액이나 농축액을 따뜻한 물에 희석하고 발을 담그면 무좀 증상의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요.
단, 마요네즈나 홍삼 등 피부에 직접 바르는 행위는 민감성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니 미리 팔 안쪽 등에 테스트해보시거나 내 피부 타입을 체크해보시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유통기한 지난 우유, 화분 비료, 청소용으로 활용 가능해요.
우유는 유통기한이 무척 짧기 때문에 다 먹지 못하고 버리기 일쑤예요. 냉장고에 넣어둔 우유의 유통기한이 지났다면 화분의 비료나 청소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먼저 우유가 상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차가운 물에 우유를 몇 방울 떨어트려 보면 되는데요, 이때 물에 빠르게 퍼져 나가면서 뿌옇게 된다면 이는 우유가 상했다는 신호입니다. 반면 우유가 아직 신선하다면 물에 퍼지는 속도가 상한 우유에 비해 느리고 그대로 물 밑으로 가라앉게 됩니다.
상한 우유라도 판명되었다면 물과 희석해 화분에 뿌려보세요!
우유가 영양제 기능을 하면서 화초를 더욱 건강하고 활력 넘치게 만들어준답니다. 그리고 우유는 더러운 신발이나 가죽소파를 청소하는 역할도 해요. 우유가 상하면 산성 성분은 사라지고 알칼리 성분만 남게 되는데 이 알칼리 성분이 세제 기능을 하게 됩니다. 수건이나 마른천에 유통기한 지난 우유를 살짝 적셔 가죽이나 더러워진 곳을 닦으면 반짝반짝 윤광을 낼 수 있답니다.
-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밀가루'
다양한 요리를 하는 데 쓰이는 밀가루의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약 1년입니다. 주방 선반에 장기간 보관하거나 음식을 자주 해 먹지 못할 때 밀가루의 유통기한이 지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럴 경우 설거지나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해보세요.
삼겹살을 구워 먹고 기름기가 가득 낀 프라이팬을 닦는 데는 밀가루가 제격이랍니다.
프라이팬에 밀가루를 뿌려주고 잠시 둔 뒤 키친타월로 닦아주세요. 이후 따뜻한 물로 세척하면 기름기 묻은 프라이팬이나 주방용품을 깨끗하게 설거지할 수 있어요.
과일이나 채소를 먹기 전, 물로 헹굴 때도 밀가루를 뿌려 문질러서 세척해주면 밀가루가 과일에 묻어있는 각종 이물질과 잔여 농약 성분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해요.
이렇게 유통기한 지난 식품을 활용하는 방법이 정말 여러 가지 있지만, 그래도 최선의 방법은 냉장고 관리를 잘하고 음식은 먹을 만큼만 구입하여 오랫동안 쌓이고 방치되게 하지 않는 것 이 가장 현명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휴직 기간 / 급여 알아보기 (회사가 거절해도 쓸 수 있어요) (1) | 2022.08.12 |
---|---|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차이점 (1) | 2021.12.24 |
온라인 판매 사업자 등록증 발급받기 아주 간단해요! (1) | 2021.12.21 |
기초연금과 조기노령연금의 수령 기준과 차이점 (0) | 2021.12.13 |
어린이집, 유치원 잘 고르는 꿀팁 (3) | 2021.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