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판매 사업자 등록증 발급받기 아주 간단해요!
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온라인 판매 사업자 등록증 발급받기 아주 간단해요!

by ella_song 2021. 12. 21.
반응형
집에서 사업자 등록증 발급하기

 

 

오늘은 온라인 판매자 사업자 등록증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에 온라인 사업을 하고 싶다 또는 작게나마 스마트스토어를 오픈해볼까 등등..

정말 많은 분들이 고민하시고 계신 것 같아요.

 

그런데 첫 시작부터 걸리는 게 한 가지 있죠. 바로 사업자 등록증인데요,

생각보다 절차가 아주 간단하고 빠르게 승인이 된답니다. ㅎㅎ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집에서 발급받는 방법이 아주 간단하고 피씨와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된답니다.

 

사업자 등록증 발급 방법

1) 오프라인 발급 - 신분증, 임대차계약서(현주소, 혹은 사업장) -> 세무서 (관할지역세무소 가능)

2) 온라인 발급 - 공인인증서, 홈텍스

 

오프라인 발급은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신분증과 임대차계약서만 들고 가까운 세무서만 방문해주시면 되기 때문에

온라인 발급 방법에 대해서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다음과 같이 홈텍스에 들어간 뒤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합니다.

   (+공인인증서가 있는 피씨를 이용해주세요.)

 

 

 

로그인 후,  메인화면 우측 중간쯤에 사업자 등록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이후 넘어간 화면이 아래처럼 나오는데 이쪽에서는 좌측 개인사업자 등록 신청을 클릭합니다.

 

 

 

↓ 상호명과 사업장 전화번호 (or 개인 핸드폰 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사업장 소재지를 입력합니다. 자택에 사업자 등록을 하시는 경우라면 현재 거주하시는 자택 주소도 무방합니다.

 

 

 

↓ 위의 단계에서 아래쪽에 있는 업종 입력/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업종 선택하는 방법

대부분 온라인 판매를 하기 위해서는 어떤 업종코드로 입력을 해야 하는지 이 부분에서 많이 헷갈리시는 것 같아요.

업종 입력/수정 버튼을 누르면 [업종 선택]이라는 팝업이 뜨는데 여기에서 업종 코드를 검색합니다. (아래 이미지 참고)

 

 

↓  업종 코드를 검색하면 업종코드 목록 조회 창이 활성화됩니다.

    여기에서 업종 부분에 전자상거래으로 입력해주세요. (-----> 온라인 판매를 할 경우입니다)

    조회하기를 누르면 가장 위에 나오는 525101 도매 및 소매업 코드를 선택합니다. 

 

↓ 525101 업종코드를 선택한 후 등록하기 -> 체크박스 선택 -> 업종 등록 버튼을 차례로 클릭해주세요.

 

 

↓ 업종등록을 선택해주시면 자동으로 업종 선택란에 해당 업태 / 업종 코드가 들어가게 됩니다.

 

 

 개업 일자는 사업자등록증을 신청하는 날짜로 해주시고, 종업원수는 현재 0명이면 0명으로 지정해주셔도 무방합니다.

    임대차 내역 입력은 전/월세여도 본인 소유로 체크해주시고 자가 면적에 반드시 임대차계약서에 나온 면적으로 넣어주세요! 

 

 

다음으로 넘어오면 이렇게 제출서류 선택란이 팝업으로 뜨는데 집이 아닌 사업장이 따로 있을 경우에는

     임대차계약서 사본을 아래 표시한 부분에 업로드해주세요.

     집에서 사업자등록을 할 경우에는 첨부파일을 업로드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렇게 세무서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직접 홈택스를 통해 사업자 등록증을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중요 포인트 체크해볼게요.

 

1. 사업자 등록증을 발급할 때, 세무서에 직접 가는 방법과 온라인 홈택스에서 발급받는 방법 두 가지가 있는데,

   이렇게 따라 해 보아도 어렵다 하시는 분들은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반드시 챙겨서 세무서로 직접 방문해주세요!

2. 사업자등록증을 발급하기 전 정확한 상호명을 먼저 만들고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 마음만 급해 홈택스 먼저 들어가서 등록을 하다 보니 상호명에서 막혀서 한 참을 다시 생각했습니다. ㅎㅎ

3. 일반과세자로 등록할지 간이과세자로 등록할지 미리 생각해서 체크해주세요.

 

이 외에는 따로 어렵거나 막힘없이 바로 발급이 가능했기 때문에 중요하게 짚고 넘어갈 포인트는 없어 보입니다.

최종 등록하여 신청을 마치고 나면 영업일 기준 2-3일 내로 발급이 바로 된답니다.

 

이상 너무 쉽고 빠른 집에서 온라인으로 사업자 등록증 발급하기였습니다.

다음에는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차이점을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