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과 조기노령연금의 수령 기준과 차이점
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기초연금과 조기노령연금의 수령 기준과 차이점

by ella_song 2021. 12. 13.
반응형
기초노령연금과 조기노령연금의 차이점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에 10년 이상 가입하고 60세가 되면 그때부터 평생 동안 노령연금이 지급됩니다.

가입 당시 50세 이상인 가입자는 5년 이상만 가입하면 특례노령연금을 지금 받을 수 있으며, 가입 중에 질병이나 부상으로 장애가

생기면 장애연금이 지급됩니다. 

 

 

  • 국민연금 종류

 

여기에서,

노령연금이 우리가 가장 흔히 알고 있는 국민연금의 종류입니다.

갈수록 고령화 진행이 빨리지면서 노령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나이가 뒤로 늦춰지고 있다고 해요.

 

출생년도 노령연금 수령 연령
1952년생 이전 60세
1953~56년생 61세
1957~60년생 62세
1961~64년생 63세
1965~68년생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그렇다면 기초노령연금과 함께 조기노령연금이 어떻게 다른지 한 번 알아볼까요?

 

조기노령연금은,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면서 55세 이상인 분이 소득이 없는 상태일 때 본인이 신청을 하면 60세가 되지 않아도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 가입기간 상태나 처음으로 연금을 받는 연령 등에 따라 일정한 기본 연금액을 평생 지급받을 수 있는데요,

 

조기노령연금은 보다 빨리 받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지만, 그만큼 전체받는 금액은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그런데 55세 이후에 연금을 신청해서 지급받게 되다가 60세 이전에 소득이 발생하는 업무에 종사하게 되면 그 기간 동안 연금이 중지됩니다. 소득이 없다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연금이니만큼 조기연금을 신청하실 때는 본인이 소득이 없을 때 꼭 필요시에 신청을 해야

불이익을 받지 않을 수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기초노령연금(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국내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적의 어르신이 신청할 수 있는 연금입니다. 기초노령연금과 국민연금은 관할 부서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연금인데요,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일정기간 이상 보험료를 납부해야 수령할 수 있는 연금이지만, 기초연금은 납부금액이 없습니다. 

 

우리나라 어르신들의 노후대비가 부족하여 국가가 어르신들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하였기 때문입니다. 

2014년 이전까지는 기초노령연금으로 불렀지만 현재는 기초연금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 기초노령연금 선정 기준액 계산법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국민연금을 받고 있어도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라면,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도 기초연금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기초연금은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이 받고 있으며,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매년 기준 연금액을 인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 알아본 조기노령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 어떠셨나요? 확연히  서로 다르면서도 소득이 부족한 어르신들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복지라고 생각이 되네요. 우리나라에도 이렇게 좋은 국가 복지가 있으니 이에 맞는 분들은 잘 알아보고 신청해서 놓치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저출산으로 인하여 앞으로 나라에서 일할 국민이 줄어드는 현상도 한 편으로는 걱정이 되는 부분이기도 하네요.

양극화 현상이 하루빨리 좋은 정책으로 나아지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