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 시행의 모든 것, 계산법 적용되는 기준 알아보았어요.
본문 바로가기
잡학사전

만 나이 시행의 모든 것, 계산법 적용되는 기준 알아보았어요.

by ella_song 2023. 1. 13.
반응형

 

한국에서도 이제 '만 나이'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정확히는 한국식 나이 계산법인 '세는 나이' 사라지고 만 나이가 도입된다고 볼 수 있어요.  빠른 연생, 한국식 나이 계산 법 등으로 고무줄처럼 왔다갔다 했던 나이가 이제 평준화 될 수 있을까요?

정확히 도입시기는 23년 6월이라고 하니, 앞으로 적용되는 만 나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나이-시행의-모든것-계산법-적용기준

► 만 나이 계산법 

현재 년도 - 출생 년도 = 만 나이

ex) 2022-2000년 = 만 22세  (생일 안지났으면 -1 빼기)

 

 

►  만 나이 적용으로 바뀌는 것들

Q 세는 나이, 만 나이, 연 나이 차이가 뭘까요?

A 우리나라의 경우 태어나는 순간 1살이 되고 해가 바뀔 때마다 한 살씩 더 먹게 되는 '세는 나이'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했는데요.

   '만 나이'의 경우 출생일을 기점으로 생일이 됐을 때 1살이 되는 것으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외에도 생일과는 무관하게 단순히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서 계산하는 '연 나이'가 사용됩니다.

 

Q 왜 '만 나이' 통일 법을 적용하는 건가요?

A 그 동안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법은 12월 생의 경우 태어난 지 한 달이 지나면 두 살이 되는 건데, 나이를 세는 방법에 따라 나이가 달라져 사회적으로 여러 혼동이 있기 때문에 '만 나이'로 통일하여 사용하는 법 개정안이 등장한 것입니다.

 

Q 그러면 정년, 국민연금 수령 등의 나이도 늦어지나요?

A 정년, 초등학교 입학 연령, 공무원 채용 연령, 국민연금 수령 연령 등 기존에도 이미 법률이나 공문서상 적용되는 나이는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달라지는 점은 없습니다.

 

Q 술, 담배 구입이 가능한 성인의 기준도 달라지나요?

A 2023년 1월 1일부터 성인이 되는 2004년생의 경우 병역법이나 청소년 보호법 등 '만 나이' 적용으로 사회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일부 법률에는 생일에 상관없이 새해부터 한 살을 더 먹는 '만 나이'로 계산해 현재와 동일하다고 합니다.

 

2023년 6월부터 나이를 세는 원칙을 '만 나이'로 하되, 같은 해에 태어난 동년배를 같이 취급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개별법을 적용해 동일한 나이로 규정한다고 합니다. 

 

*추후 정부는 이런 경우에도 만 나이로 통일할 것인지 사회적 논의를 거처 결정하겠다고 했어요.

 

 

▼ 2023년부터 달라지는 정책도 함께 읽어두면 좋아요.

2023.01.09 - [그의 취미/트렌드] - 2023년 계묘년부터 달라지는 정책들 미리 알아보았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