쳇GPT 이득일까, 독일까? 문제점과 실제대화 후기
본문 바로가기
그의 취미/트렌드

쳇GPT 이득일까, 독일까? 문제점과 실제대화 후기

by ella_song 2023. 3. 17.
반응형

22년 말, Open AI에서 만들어 공개한 챗GPT가 여전히 뜨거운 화제예요. 챗GPT는 문자 혹은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챗봇의 일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교육계와 정치, 종교 또 마케터나 블로거까지도 챗GPT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우리의 삶에 이득일까요, 독이 될까요? 

 

 

 

목차

  • 개요
  • 활용할 수 있는 곳
  • 챗GPT에 대응하는 업계
  • 문제점
  • 이용해 본 후기

 

개요

챗GPT는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와 샘 올트먼 와이컴비네이터 사장 등이 인류에게 도움을 줄 목적으로 설립한 비영리 법인인 Open AI에서 나온 대화전문 인공지능 챗봇입니다. 

사용자가 대화창에 질문이나 대화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답을 하고, 함께 대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웹에 있는 오프라인 정보를 수집하고 구성해서 문장으로 만들어 답을 주는 기능입니다. 

 

📍오프라인 정보란?

일정 시점의 데이터까지만 수집한다는 의미로 현재 챗GPT는 2021년까지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질문에 답하고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새로운 정보들이 올라와도 이 글들을 참조하진 못합니다.

 

활용할 수 있는 곳

말 그대로 모든 정보를 끌어들여 재구성하고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내는 챗봇이기 때문에 활용도는 무궁무진할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의료계, 교육계, 종교, 방송과 언론사, 마케팅, 크리에이터, 강사 등 이외에도 수만 가지의 직업군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강의나 발표 자료를 대신 써준다거나, 대본을 써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실제로 라라랜드의 남주인공인 미국 유명배우, 라이언 레이놀즈의 말투로 대본을 작성하게 했는데 라이언 레이놀즈가 결과를 보고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고 인정했다고 합니다.

 

또, 벌써부터 유투버들도 발 빠르게 챗GPT로 유튜브 영상 만드는 법, 수익화하는 법, AI로 역대급 돈 벌 기회라는 등의 자극적인 제목과 썸네일을 활용해서 다방면으로 챗GPT를 활용하고 있어요. 하지만 과연 이렇게 좋은 면만 있을까요? 

 

 

 

 

챗GPT에 대응하는 업계

 

현재는 Open AI의 창업주 일론 머스크는 사임했고, 마이크로 소프트가 새롭게 투자를 했습니다. 

투자 금액은 무려 12조 원이라고 하는데 이에 관련해 구글, 메타(페이스북), 네이버 같은 유사 동종 업계가 술렁이고 있어요.

 

사실 구글과 메타에 이미 유사한 구조와 훨씬 뛰어난 성능의 챗봇 기술을 가지고 있었는데 Open AI에서 덜컥 챗GPT를 먼저 공개해 버린 것인데요.

 

그동안 구글에서도 갖고 있었던 이 기술을 본격적으로 공개하지 않은 이유는, 연구를 거듭할수록 인공지능이 아닌 자아가 있는 사람처럼 느껴지고, 실제 감정이 있는 것처럼 대답하는 것에 공포를 느꼈다고 합니다.

이런 챗봇이 공개되면 사회에 일으킬 파장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했던 거죠.

 

하지만 Open AI가 이를 무시하고 먼저 출시한 이상 구글도 이에 대항할 AI 모델인 스패로우를 발표한다고 합니다. 

국내 기업인 네이버에서도 챗GPT에 대비한 서치GPT를 선보인다고 발표했어요. 서치GPT는 한국어 특화 모델인 하이퍼클로버를 기반으로 출시된다고 하니 국내에서는 이 모델이 좀 더 상용화되면 편리하게 쓰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게 하네요.

 

 

문제점

 

현재 다각도에서 논란과 문제점이 나오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사실 실질적인 문제점으로는 논문 대필과 같은 것으로 교육계에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종교계에서는 앞으로 AI가 목회자를 대신해 설교를 하는 일이 있지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네요.

 

또 챗GPT 같은 생성 AI가 기존의 창작물을 수집해 학습하고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저작권 침해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악성 웹사이트나 잘못된 거짓 정보,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고도 합니다.

 

 

▼ 실제 이용해 본 후기 ▼

 

챗봇-대화내용
챗GPT 와의 실제 대화

 

 

위의 내용은 챗GPT와 실제로 제가 대화해 본 내용인데요. 상단에서 언급해던 것과 같이 오프라인 정보를 학습해서 답을 주기 때문에 실시간 날씨 정보나 최신 업데이트된 이슈 등에 대한 답은 하지 못하는 모습이었습니다. 2021년도까지라고 학습이 완료된 연도를 알려주고 있네요.

 

많은 유투버들이 새로운 챗봇 공개에 대해 극찬을 하며 앞으로 이것으로 수익화할 수 있다 하며 주목을 이끌고 있는데, 반면에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결국 유투버나 블로거, 마케터와 같은 크리에이티브한 직업군이 사라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가 더 컸어요.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의 진화 버전이라면 사람들은 더 이상 이런 블로그를 찾을 일이 없겠죠.

 

하지만 최신 정보나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답을 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마음이 한결 놓이긴 했습니다. 

챗봇이 따라오지 못하는 속도를 사람은 계속해서 학습하고 꾸준히 업데이트하면 크게 지장은 없을 거란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챗GPT 같은 AI를 계속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면 어마어마한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벌써 두려워하고 손을 놓고 있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응형

댓글